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동래시장, 도시의 골목에서 피어난 오래된 온기

by TR digital nomad 2025. 4. 16.

 

“시장에 간다”는 말의 의미

어린 시절, 어머니는 늘 말했다.
“시장 다녀올게.”
그 말 속엔 장보기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살림을 위한 생필품 구매는 물론, 동네 어귀의 소식 한 줄, 지나가며 만나는 이웃의 안부 인사, 그리고 잠시 앉아 나누는 국밥 한 그릇의 여유까지. 시장은 단순한 장소가 아니라 삶의 축소판이었다.

그리고 부산에서 그 의미를 가장 정직하게 품은 곳이 있다.
바로, 동래시장이다.


🧭 지도에서 찍히지 않는 삶의 진짜 거점

부산 동래구, 수천 년 역사가 숨 쉬는 이 땅에서 동래시장은 그저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 아니다. 이곳은 사람이 모이고, 이야기가 자라며, 시간이 자라는 살아있는 공동체다.

처음 이 시장을 찾은 날, 한 아주머니의 말이 기억난다.
“여긴 그냥 시장 아니에요. 여기선 다 이웃이거든.”

그 말처럼, 이곳은 지역 공동체의 심장처럼 펄떡이고 있다.


🥘 부산 사투리가 반찬처럼 얹어지는 식탁

동래시장의 아침은 고소한 기름 냄새로 시작된다.
기름 두른 철판 위를 바쁘게 오가는 부침개, 전, 고로케들.
길모퉁이에서 팔고 있는 따끈한 수제 어묵과 김이 모락모락 나는 순대국밥 한 그릇.

하지만 이 시장의 진짜 '맛'은 그 음식 위에 얹히는 부산 사투리 한 스푼이다.
“아그야, 이건 그냥 가져가라. 니 얼굴이 착해 보이네.”
“이거 한 번 먹어보이소. 이게 인기짱이데이~”

음식에는 정이 담기고, 말에는 사람이 담긴다.
그 말들이 우리 마음속 허기를 채워준다.


🏮 현대와 전통의 자연스러운 조화

누구는 전통시장을 구시대의 유산이라 한다.
하지만 동래시장에선 그 말이 무색하다.

동래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의 흐름 속에서도
‘공존’이라는 가장 어려운 답을 자연스럽게 풀어낸 장소다.

한쪽에는 50년을 이어온 구두 수선점이 있고,
그 옆에선 요즘 MZ세대가 만든 수제 캔들 샵이 눈에 띈다.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전통 국악 공연이 열리는가 하면,
젊은 인플루언서들이 브이로그를 찍고 간다.

여기는 마치 시간 여행이 가능한 플랫폼 같다.
오래된 기억과 새로운 감각이 같은 거리에 나란히 서서,
함께 살아가는 법을 보여준다.


🛍️ 물건이 아닌 이야기를 파는 곳

시장 안 한복집 앞에서 우연히 멈춰섰다.
자그마한 가게 안, 수를 놓는 어머니의 손길은 마치 마법 같았다.

“이거요, 30년 넘게 내가 만든 디자인이에요.
명절마다 우리 집 딸래미들한테 입혔지.”

그 옷은 옷이 아니라,
시간의 기록이자 어머니의 사랑, 그리고 삶의 결이었다.

동래시장에서 파는 건 단순한 제품이 아니다.
여기선 물건마다 사연이 있다.
그 사연이 오고 가며, 사람들의 마음이 연결된다.


🎭 시장은 살아있는 연극이다

어느 오후, 비가 내렸다.
시장 아치형 천막 아래로 바삐 달리는 사람들.
장화를 신은 상인이 외친다.
“비 와도 우린 장사한데이~ 우산 써도 기냥 들러보이소!”

그 순간 깨달았다.
동래시장은 대본 없는 연극 무대라는 걸.
상인은 배우, 손님은 관객이자 공동 주연.
누구도 주어진 대사 없이, 매일의 상황에 맞춰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드라마.

여기엔 클라이맥스도, 결말도 없다.
늘 지금 이 순간이 가장 생생한 장면이니까.


📚 동래의 역사와 함께 걷는 길

동래시장은 시장이기 전에 ‘역사’다.
조선시대부터 번성한 동래읍성,
그리고 그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된 상권.
그것이 지금의 동래시장의 뿌리다.

이곳을 걷다 보면 단순히 현대적 상점들뿐 아니라
시대의 흔적을 간직한 골목과 건물, 간판들이 속삭이듯 다가온다.

"여기 옛날에 우체국 있던 자리 아입니까~"
"요기 책방은 내가 초등학생 때 다니던 데예~"

동래시장에선 모든 골목마다 한 권의 역사서가 펼쳐진다.


📸 사진보다 오래 남는 장면

이곳은 인스타그램용 '감성샷'을 찍으러 오는 장소가 아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곳이야말로 가장 감성적인 공간이다.

기름 종이에 싸인 전, 오색찬란한 채소 더미,
고추가루가 한 바구니 쌓인 장면, 고무 대야에 담긴 낙지의 움직임.
이 모든 장면은 사진이 아니라 기억 속 깊은 필름으로 남는다.


🧓 미래를 품은 오래된 시장

“우리 아들이 스마트스토어 해요.
이거 내가 만들고, 아들은 온라인으로 팔고~”
한 떡집 아주머니의 말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졌다.

전통시장도 스마트하게 진화 중이다.
QR 결제, 배달 서비스, 온라인 리뷰…
동래시장은 단지 과거에 안주하는 곳이 아니다.
미래를 스스로 설계해가는 현명한 공동체다.


🌱 마치며 – 시장은 기억이고, 위로이고, 사람이다

우리는 점점 더 빠른 세상에서 살고 있다.
스크롤을 내리면 다음 장면이 나오고,
AI가 음식을 추천해주는 시대.

하지만 가끔은, 누군가의 눈을 마주 보고 고개를 끄덕이며 사는 일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된다.

동래시장은 바로 그런 곳이다.
무언가를 사기 위해 가는 곳이 아니라,
잊고 있던 '사람 냄새'를 다시 맡기 위해 가는 곳.

오늘도 누군가는 말한다.
“시장 갈까?”
그 말은 여전히 따뜻하다.
그리고 그 끝에는, 언제나 동래시장이 있다.


🔍 부록: 동래시장 이용 꿀팁!

  • 영업시간: 대부분 9시20시까지. 하지만 일찍 닫는 가게도 있으니 오전오후 방문 추천!
  • 주차: 시장 전용 공영주차장 이용 가능, 평일엔 여유 있음.
  • 필수 먹거리: 수제 어묵, 찹쌀도너츠, 동래파전, 국밥
  • SNS 인기 스폿: 노포식당 골목, 전통 의류점 골목